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범위를 가져올 수 있는 함수 TAK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AKE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른 함수, SORT와 같은 정렬 함수와 함께 중첩 하여 사용 하게 된다면 보고서를 만드는 데에 좋습니다. TAKE 함수 알아가시고 깔끔하고 멋진 보고서 작성 하시길 바랍니다.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
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TAKE의 인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TAKE(범위,가져올 행의 개수,가져올 열의 개수)
예제를 통해서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TAKE를 이용하여 필요한 범위를 가져오겠습니다.
범위를 가져올 셀에 수식을 입력하고 첫 번째 인수에 범위를 지정 합니다.
=TAKE(범위,5) 입력시 범위 중에서 다섯 번째 열까지 표시합니다
가져올 범위가 열의 범위만 필요하다면 세 번째 인수인 행은 생략가능 합니다.
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열 가져오기
두 번째 인수를 비워 놓고 세 번째 인수에 필요한 열의 개수를 입력 하면 전체 행과 선택한 열만큼 범위가 참조 됩니다.
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행 과 열 가져오기
이번에는 행 과 열 필요 한 만큼 가져 오겠습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인수를 둘다 입력하면 원하는 행과 열 만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마지막 부터 가져오기
인수에 음수를 입력 할 경우 마지막 순서로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인수에 음수를 입력 하면 뒤에서 부터 가져온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범위 가져오기 함수 TAKE SORT와 중첩하기
상위 3개 가져오기
SORT 정렬 함수를 중첩하여 범위중 상위 N번째 까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SORT 함수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SORT 함수로 네 번째 행인 보유 포인트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해보았습니다.
=SORT(범위,기준행,오름차순OR내림차순결정)
TAKE함수와 중첩하여 별도의 필터나 정렬 없이 바로 보유 포인트 기준 상위 3개의 명단이 순서대로 나온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엑셀 결재란 만들기 칸이 맞지 않는 경우 카메라 기능 활용!
엑셀 글자 합치기 방법 두가지 연결기호 혹은 함수 사용!
엑셀 띄어 쓰기 없애기 SUSTITUTE 함수 사용해보기!
엑셀 함수 코드에 대한 텍스트 서로 변환 해보기 CHAR, CODE 함수